[HD]Spring Framework (스프링 프레임워크) 기초 배우기 Part.1
담당강사 |
김정일 |
강의구성 |
총 27차시 |
수강기간 |
30일 |
제작연도 |
2016년 |
결제하기 |
|
증빙서류 |
수료증 |
교안/예제 |
|
강의 목차 |
강의 제목 |
수강 여부 |
1 |
스프링 개요 [31:50]
|
|
2 |
스프링 개발환경 구축 및 스프링환경에서의 프로젝트 만들기 [41:12]
|
|
3 |
스프링의 특징 및 DI 기본 개념 잡기 [33:06]
|
|
4 |
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의존성 낮추기 [48:14]
|
|
5 |
Bean 설정 파일 개념 및 DI 구현 [41:44]
|
|
6 |
생성자 설정을 이용한 DI 구현 [21:38]
|
|
7 |
생성자 설정을 이용한 DI 구현 II [38:38]
|
|
8 |
프로퍼티 설정을 이용한 DI 구현 [31:20]
|
|
9 |
DI를 사용의 장점 [32:34]
|
|
10 |
XML을 이용한 의존관계 설정 I [32:36]
|
|
11 |
XML을 이용한 의존관계 설정 II [30:11]
|
|
12 |
자바코드를 이용한 의존관계 설정 [31:37]
|
|
13 |
XML과 자바코드 혼용한 의존관계 설정 [34:32]
|
|
14 |
빈의 Life Cycle [45:47]
|
|
15 |
빈의 범위(Scope) [32:40]
|
|
16 |
사용자 초기화 메소드 및 사용자 소멸 메소드 설정하기 [28:43]
|
|
17 |
Environment를 이용한 빈 설정 [49:13]
|
|
18 |
xml에 외부 properties파일 불러오기 [30:10]
|
|
19 |
java 코드에 외부 properties파일 불러오기 [37:57]
|
|
20 |
Profile속성을 이용한 빈설정 [40:21]
|
|
21 |
IoC의 개념 정리 [46:04]
|
|
22 |
AOP 개념 이해 [38:30]
|
|
23 |
XML 스키마 기반의 AOP I [36:35]
|
|
24 |
XML 스키마 기반의 AOP II [39:51]
|
|
25 |
XML 스키마 기반의 AOP III [46:43]
|
|
26 |
Advice 타입별 AOP [37:10]
|
|
27 |
@Aspect 어노테이션을 이용한 AOP [28:01]
|
|